성도컬럼

  • 커뮤니티
  • 성도컬럼
  • 레 미제라블을 보고...조회수 : 8415
    • 작성자 : 조양교
    • 작성일 : 2013년 1월 25일 14시 39분 58초
  • 1. 프랑스 대문호 빅토르 위고의 작품을 뮤지컬 영화화한 것으로 많은 생각을 하게 해주는 영화였습니다. 영화를 본 뒤에도 많은 여운이 있어 소감을 씁니다. 등장 인물들을 보면 당시 프랑스 시대상을 적나라하게 반영을 해주고 있고, 오늘날의 시대상과도 잘 매칭되고, 시대를 뛰어넘는 작품이란 생각이 듭니다. 많은 사람들이 보았다고 하네요^^

    * 쟝발장 ~ 어린 나이에 부모를 잃고 나이 차이가 많이 나는 누나와 함께 가난한 삶을 살아 갑니다. 누나는 결혼을 하여 7명의 아이를 두었지만 남편이 이른 나이에 죽는 바람에 어린 조카들을 누나와 함께 키우게 됩니다. 배고픔에 허덕이는 조카들 생각에 빵 한조각을 훔치게 되고 악명높은 툴롱의 감옥에 갇힙니다. 조카들이 다 흩어지고 마지막 하나 남은 조카와 누나가 어렵게 살아가고 있다는 소식을 들은 쟝발장은 4번의 탈옥을 시도하지만 번번히 잡혀서 형기만 늘어나고 19년만에 만기 출소합니다. * 미리엘 주교 ~ 전과자 쟝발장에게 호의를 베풀어 주고 성당의 은접시를 훔치고 달아나다가 잡혀온 쟝발장에게 은촛대까지 내어 주면서 감화를 시킵니다. * 판틴 ~ 고아로 태어났고 돈을 벌기 위해 파리로 갔다가 남학생과의 잠깐 사랑으로 미혼모가 되어 어린 아이 코제트를 양육비를 부쳐 주는 조건으로 여관 주인에게 맡기고 고향에 있는 마들렌 공장에 취업을 합니다. * 코제트 ~ 고아의 신세로 자신의 의지와 상관없이 못된 여관 주인을 만나 온갖 궂은 일을 하게 됩니다. 후에 쟝발장의 딸로 입양됩니다. * 테나르디에 부부 ~ 코제트를 맡았던 욕심쟁이 부부, 여관이 망하고 후에 파리에서 삽니다. * 에포닌 ~ 테나르디에 부부의 장녀로 구걸하러 갔다가 마리우스를 짝사랑합니다. * 가브로슈 ~ 테나르디에 부부의 어린 아들입니다. * 포슐르방 노인 ~ 쟝발장이 시장으로 있을 때 마차에 깔렸을 때 구함을 받았고, 후에 수녀원 정원사로 있게 됩니다. 쫒기는 쟝발장과 코제트의 은거생활을 할 수 있도록 도와 줍니다. * 마리우스 ~ 가난한 변호사였고 혁명을 꿈꾸는 청년으로 자유주의 단체에서 활동을 하고 코제트를 짝사랑합니다. * 자베르 ~ 죄수인 아버지와 집시인 어머니 사이에서 출생합니다. 자신이 속했던 집단에 대한 반발심리로 경찰이 되고 쟝발장이 투옥됐던 감옥에서 간수로 일합니다. 기계적인 법의 집행자로 쟝발장이 시장으로 있던 도시에 부임하여 쟝발장을 의심합니다. 쟝발장이 스스로 정체를 밝힌 뒤 집요하게 쟝발장을 추적합니다.

    2. 당시 프랑스 사회구조는 철저한 신분사회였습니다. 1%의 성직자 신분, 1%의 귀족 신분, 98%의 하층신분으로 2%의 특수신분 계급이 98%의 하층민들을 착취하고 약탈하여 98%의 사람들이 기본적인 삶 이하의 비참한 삶(레미제라블)을 살 수밖에 없었습니다. 호화스런 삶을 사는 사람도 있었고, 가난한 사람을 사는 사람도 있었고, 가난한 사람들을 등쳐먹는 사람도 있었습니다. 기본적인 삶을 회복하려는 혁명적인 투사도 있었고, 쟝발장과 같이 호의와 끊임없는 책임감속에 살아가는 사람도 있었고, 자베르와 같이 기계적인 법 집행을 하며 자기안에 있는 상실한 인간성을 못이겨 비운의 자살을 하는 사람도 나옵니다. 현실의 벽을 벗어나 보려는 강렬한 욕망이 몸부림치지만 결국에는 승자도 패자도 없는 비참한 삶을 살 수 밖에 없는 현실로 되돌아 옵니다. 하나님이 없는 삶은 아무리 노력해도 벗어 날 수 없는 것이 정답입니다. 마귀는 우리의 숨이 넘어가는 순간까지 무언가 주려는 듯하면서도 우리를 옭아매고 비참한 삶으로 전락시키고 맙니다. 우리의 힘만으로는 그 속박에서 벗어 날 수는 없습니다. 갈 때까지 가보지만 결국 죽음으로 끝나 버립니다. 짝사랑이 이루어지면서 마지막 여운을 남겨 주지만 역시 이성간의 사랑도 궁극적 해결책이 될 수 없고 또 다른 문제점을 안고 있음을 압니다. 자베르는 외로운 죽음이었고, 쟝발장의 죽음은 외롭지 않았습니다.

    3. 쟝발장에게 가장 중요한 가치는 책임이었던 것 같습니다. 누나의 아이들을 돌보았고, 자신의 배고픔 때문이 아니라 굶주린 조카들을 위해 빵조각을 훔쳤고, 어려움에 처한 판틴을 구하기 위해 자신이 정체를 드러내는데 주저하지 않았습니다. 죽어가는 판틴앞에서 코제트를 돌보겠다는 약속을 하고 결국 코제트를 위해 자신의 삶 전체를 드리는 헌신적인 삶을 모습을 보여 주었습니다. 쟝발장의 삶은 거친 삶이었음에 분명하지만 당시 물리적인 봉기로 이룩한 프랑스 대혁명과는 대조적인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물리적인 힘으로 망가질 수 있는 것이 인간의 행복이지만 물리적인 힘으로 얻어질 수 없는 것이 또한 행복이란 생각도 듭니다. 미리엘 주교를 만난 후 쟝발장의 모습을 통해 회심한 그리스도인의 모습은 이러해야 하지 않는가 합니다. 인정에 타협하고만 자베르의 경우 자신이 정한 원칙을 어겼다는 생각에 자살한 것을 통해 긍휼이 없는 법체계가 심판될 수 밖에 없는 또 다른 여운을 우리에게 남겨 줍니다. 레미제라블은 하나님이 없는 사람들의 비참한 삶에 대한 다양한 현실적 투영이라고 봅니다.

    [이 게시물은 관리자님에 의해 2013-02-26 10:10:28 자유게시판에서 이동 됨]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텔레그램으로 보내기
    • 밴드 보내기
    • 블로그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