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도컬럼

  • 커뮤니티
  • 성도컬럼
  • 어떻게? & 왜?조회수 : 8678
    • 작성자 : 조양교
    • 작성일 : 2014년 7월 3일 10시 34분 39초
  • 과학 문명의 발달은 저장매체의 발달과 맥을 같이 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노하우를 자신만 갖고 있다가 죽으면 후손은 그 노하우를 알길이 없습니다. 그 노하우를 기록으로 남기면 후손들은 기록을 바탕으로 더 발전된 형태를 통해 더 나은 기능과 편리성을 강구하게 됩니다. 역사시대에는 대부분 종이 기록에 의존하고 있지만 최근에는 메모리와 랜칩의 개발로 용량이나 처리속도 또한 방대하고 과거에 상상할 수 없을 정도의 빠른 속도로 개선되고 있습니다. 현대에 살고 있는 사람들은 그 문명의 이기를 누리고 이용하고 특혜를 누리고 있습니다. 큰 축복이 아닐 수 없죠?

    어떻게? 라는 의문을 해결해 나가면서 불편했던 것들이 편리하게 되고, 성능이 개선되고, 세분화, 전문화되었습니다. 하나님께서 주신 지능을 잘 활용하면 최소의 비용으로 최대의 효과를 얻들 수 있고, 다른 사람보다 앞선 사람으로 그 풍요를 누릴 수 있게 됩니다. 어떻게 빨리갈까? 마차, 기차, 자동차, 비행기 등이 탄생했습니다. 어떻게 하면 전쟁에 이길까? 칼, 화살, 총, 대포, 미사일, 핵무기 등이 개발되었습니다. 일상의 편리함도 마찬가지입니다. 많은 과학자들이 어떻게 라는 의문에 대한 해답을 찾으면서 삶의 질과 양이 풍성해지게 되었습니다.

    어떻게? 라는 의문을 해결한다고 해서 모든 것이 만사형통하는 것은 아닙니다. 과학문명이 발달한 선진국보다는 원시부족과 같은 나라의 행복지수가 더 높게 나옵니다. 사람은 먹고, 입고, 자는 것 그 이상이 필요한 존재이기 때문입니다. 그것은 왜? 라는 문제에 대한 답을 구하면서 해결될 수 있습니다. 왜? 라는 문제에 대해 나름 해결책을 논리적으로 제시한 사람들을 보통 성자나 현자, 사상가, 철학자라 부릅니다. 인생은 어디로 와서 어디로 가는가? 사람은 왜 죽는가? 등등 풀리지 않는 문제들을 고민하던 때도 있었고, 이런 문제들을 진지하게 생각하는 사람들이 그래도 한 차원높은 삶을 사는 것이 아닌가? 나름 고상한 척 해보던 때도 있었을 것입니다.

    이런 문제를 고민했던 사람들이 전도라는 매체로, 요즘에는 유투브라는 매체로 성경기록을 통해 하나님을 발견합니다. 하나님께서 계시해 주신 예수 그리스도를 인격적으로 만나는 일이 생기고 하나님께서 예비해 주신 구원을 경험한 사람들이 그리스도인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하나님이 원하시는 바른 그리스도인이 되기 위해서 왜? 라는 문제에 끊임없이 부딪히게 됩니다. 왜 성경을 읽어야 하나? 왜 킹제임스 성경을 사용해야 하나? 왜 교회를 나가야 하나? 왜 예배를 드려야 하나? 왜 기도를 해야 하나? 왜 암송을 해야 하나? 믿음의 본질적은 문제를 끊임없이 생각하고 고민하면서 바른 하나님의 뜻을 구하게 되고 합당한 행실이 우리 삶속에 배어나오는 것 같습니다. 본질적인 문제에 접근할 때 거기에서 하나님 말씀의 회복과 경건한 삶의 혁명이 일어났습니다.

    오늘날에는 기독교라는 이름을 갖고 다양한 종교 시스템으로 정착이 되었습니다. 천주교, 성공회, 개신교, 침례교, 등 개신교에도 이루 말할 수 없는 이름으로 자기만의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그러다 보니 건물과 조직과 사람에 더 신경을 많이 쓰게 되고 왜? 라는 본질적인 질문보다는 어떻게? 라는 현상적인 질문이 더 중요해지게 됩니다. 어떻게 라는 질문을 해결하면서 현상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는 있습니다. 그러면 어쩌란 말입니까? 사람이 없는 교회는 어떻게 하면 사람을 끌어 모을까? 궁리합니다. 연예인 간증집회를 하면 될까? 두 날개 운동을 하면 될까? 건물의 편의성을 증대시켜 볼까? 등등을 강구합니다. 큰 교회는 나름대로 또 문제가 있습니다. 어떻게 하면 큰 덩치를 유지해야 할까?

    교회안에서도 속성 그리스도인들을 많이 양산합니다. 성경 속독법, 기도하는 법, 예배드리는 법, 등 등,  사역자들에도 일어납니다. 직업으로서의 목사, 전도사, 직원 등 자신의 삶의 손실에도 불구하고 교회에 헌신적 섬김에 따라 일정한 보상차원의 사례가 이루어지는 것인데 사례 자체를 목적으로 교회에 봉사직을 추구하는 사람들이 생겨나게 됩니다. 신학교도 목사나 성경교사가 되려는 사람이 훈련 차원에서 들어가야 하는데 신학교가 목사나 교사 양성기관으로 전락해 버리면 일자리 없는 목사나 교사는 교회나 그 당사자에게도 불행한 일일 것입니다. 신학교는 신학교를 유지해야 하니까 검증안된 사람까지 학생을 유치를 할 수 밖에 없어 악순환이 반복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신앙의 영역에서 왜? 라는 질문을 끊임없이 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목사님께서도 설교중 왜? 교회에 나오십니까? 라는 화두를 종종 던지십니다. 왜? 교회에 나오십니까? 왜 봉사하십니까? 왜 교제를 하십니까? 왜 홈페이지에 글을 올리고 덧글을 다십니까? 왜 헌금을 하십니까? 왜 학생부 교사를 하십니까? 왜 주방 봉사를 하십니까? 주님께서는 일에 분주했던 마르다보다는 주님의 무릎옆에 앉아 주님의 말씀을 경청했던 마리아를 향해 네가 좋은 편을 택하였다고 말씀하셨습니다. 사람을 보고 돈을 보고 했을 때 실족할 수 밖에 없습니다. 왜? 라는 질문에 진솔한 답변을 찾을 때 비로소 마음과 행함이 일치되는 삶을 살 수 있다고 생각됩니다. 선순환을 추구하는 삶이 우리 가운데 있었으면 합니다. 두서없는 글이 너무 길어진 것 같습니다.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텔레그램으로 보내기
    • 밴드 보내기
    • 블로그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