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사이트검색
검색결과 약37062개
형제님 글을 읽으며  생각나는  구절이  빌3:20 <우리>의 생활 방식은 하늘에 있으며  거기로부터 또한 우리가 [구원자] [주] 예수 그리스도를 기다리노니  라는 말씀이에요. 우리의 생활 방식이 하늘에 있어야 하는데 처남 친구들이 사는 방식이라면   <우리>안에 속하지 않지요. 얼굴 뜨뜻해지게 만드는 교회 다니는 사람들이 너무 많아요...
2023-03-11 07:22:36 | 이수영
존재의 울림   얼마 전, 손위 처남(아내의 오빠)을 만나러 갔다. 이 분은 올해 연세가 72세다. 구원받고 천국가야 한다고 계속해서 공을 들이고 있는 분이다. 이런 저런 안부의 말을 끝내고 본론으로 들어갔다.    "형님, 결단하셨어요? 예수님 믿고 천국가야지요. 앞으로 살아가야 할 날도 얼마 안 남았는데..."   "글쎄, 내가 이런 말을 해도 되는지 모르겠지만..."   무슨 말을 할지 긴장됐다. "말씀해 보시지요"   자기의 친구들 중에 교회 다니는 친구들이 있다. 그 중에서는 장로들도 있다. 그 친구들의 하는 짓(?)을 보면 넌더리가 난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넌더리의 사례들을 제시하는데, 너무나 이기적이고, 입이 거칠고, 심지어 속이기까지 한다는 것이다. 여기에 세세한 내용을 다 소개할 수 없다. 그 날 결론은 아래와 같다.    "내가 예수님을 믿으면 뭐하나? 저 친구들처럼 될텐데..."    나는 기회가 있을 때마다 나름 전도를 시도한다. 결과가 그때마다 나오지 않아서 전도 실력이 없나 보다라고 생각하고 다음에는 무슨 말부터 할까를 고민할 때가 많다. 이 형님의 말을 들으면서 느끼는 점은 전도 실력도 실력이지만, 물이 너무 흐려져 있는 것은 아닌가 하는 점이다.    씁쓸한 기분으로 집에 돌아왔다. 그리고 예전에 읽었던 『그리스도인은 누구인가』(김남준, 생명의 말씀사, 2019년)라는 책을 다시 봤다. 아래 내용은 『그리스도인은 누구인가』를 쓰신 김남준 목사님이 책에서 절규하는 내용의 일부분이다.    우리의 가장 중요한 사명은 이것이다. 하나님을 모르고 살아가는 사람들과 하나님 아버지를 아는 우리가 어떻게 구별된 존재인지를 삶으로써 보여주는 것이다. 그리고 우리가 그들보다 참 행복을 누리며 산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신자의 사명에는 보편적인 사명과 개별적인 사명이 있다. 흔히 신학교에 입학하여 목회자가 되거나 교회 안에서 전도와 선교 등 이러저러한 봉사를 하는 것만이 사명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그것들은 개인에게 주어지는 개별적인 사명이다. 신자에게는 개별적인 사명뿐 아니라, 그것보다 더 중요하고 절대적인 가치를 지닌 보편적인 사명도 있다. 그것은 바로 우리가 하나님께서 우리를 창조하시고 구원하실 때 의도하신 존재가 되는 것이다. 하나님께서는 우리가 이 세상에서 참으로 하나님께서 의도하셨던 사람답게 존재하기를 바라셨다. 즉, 우리가 하나님을 알지 못하던 때와는 다른 존재로서 이 세상에 ‘있는’ 것을 바라셨다. 이로써 우리가 하나님이 하나님이심을 세상에 알리는 것이다. 이것이 바로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주신 가장 중요한 사명이다. 신자의 현존이야말로 최고의 선포이다. 이것을 존재의 울림이라고 부른다.   그리스도인은 이 세상에서 사람으로 현존하는 것, 그 자체가 하나님에 대한 웅장한 울림이 되도록 부름 받은 사람들이다. 곧 사람으로서 존재하는 것이 이러한 것임을 자신의 존재와 삶의 방식으로써 선포하는 것이다.    하나님께서는 다양한 신자들로 하여금 인간으로서의 존재의 울림을 들려주는 데 사용하셨다. 교회의 역사를 움직인 위대한 인물들 중에는 학식이 뛰어난 사람도 있었고, 그렇지 않은 사람도 있었다. 불같은 성정을 가진 사람도 있었고 고요한 성품을 가진 사람들도 있었다. 그러나 그들에게는 공통점이 있었으니 바로 존재의 울림이었다.   존재의 울림은 ‘사람됨’의 문제다. 그리스도인의 가장 중요한 사명은 이 세상에서 ‘다른 사람’이 되는 것이다. 사람이 살아 있다고 해서 모두 사는 것인가? 하나님께서 죄인인 우리를 구원하여 그리스도인으로 삼으신 것은 우리로 참된 사람이 되게 하시기 위함이었다. 타락으로 말미암아 하나님의 형상을 잃어버린 인간들에게 그리스도 구원 사건은 참 인간이 되는 길을 제시하는 것이었다.   그리스도인들이 세상에 들려주어야 할 존재의 울림은 바로 이 세상에 있는 많은 사람들에게 하나님께서 세계를 창조하신 의도와 인간을 지으신 목적이 무엇인지를 보여주는 것이다. 사실 사회적 지위가 높은 사람은 그러한 지위에 오르고 싶어 하는 사람들에게 울림이 된다. 학문과 예술에 재능이 아주 뛰어난 사람은 그러한 재능을 갖고 싶어 하는 사람에게 울림을 들려준다. 그러나 그것은 단지 그들의 성공이 주는 울림일 뿐이다. 그것은 우리가 말하는 존재의 울림이 아니다. 여기서 말하는 존재의 울림은 사람들에게 인간 존재의 의미를 깨닫게 하는 울림이다. 다시 말해서 그것은 그런 울림을 들려주는 사람 앞에서 세상 사람들이 부끄러움을 느끼게 하는 울림이다.   그리스도인들이 아무렇게나 살아가는 것은 자기가 누구인지를 정확히 모르기 때문이다. 그리스도인은 그렇게 살아서는 안 되는 사람들이다. 그리스도인들이 그리스도인으로서의 정체성을 바르게 확립하고, 하나님의 사랑을 받는 존재로서의 자존감을 갖고 살아갈 때, 세상은 그런 우리를 바라보며 하나님을 생각하게 될 것이다.   하나님, 세계관, 인간관에 대한 확고한 신념과 사상의 체계는 기독교의 특징이다. 따라서 참된 기독교 사상은 우리로 하여금 세상 사람들과는 현저히 다른 방향의 삶을 살게 한다. 인간의 삶의 도리가 무엇인지를 확신하고 그 사상을 따라 일관성 있는 삶을 살아가는 사람들에게는 존재의 울림이 있다. 왜냐하면 그러한 삶은 곧 그 사람의 사람됨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존재의 울림은 사상과 떼어 놓고 생각할 수 없다.   세상을 향한 신자의 진리 선포는 언어의 선포와 존재의 선포로 이루어진다. 진리를 말로써 선포하는 것은 그리스도인의 사명이다.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의 죽음에 대한 선포, 회개와 믿음을 촉구하는 선포는 항구적인 가치를 가지고 있다. 많은 사람들은 아직 이 복음을 듣지 못하였기에 믿을 수 없고, 믿지 못하기에 고백할 수가 없다. 그리고 고백할 수 없기에 구원받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진리는 단지 말의 선포가 되어서는 안 된다. 언어로 선포한 복음이 힘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그것을 전파하는 신자의 존재로서의 선포가 있어야 한다. 이것은 그 선포자의 사람됨이 불신자들과는 다름을 존재적으로 보여주는 것을 의미한다. 사상과 삶의 방식이 자신들과는 근본적으로 다른 그리스도인들로부터 울려 퍼지는 장중한 존재의 울림은 언제나 그들에게는 낯선 것이다. 하나님께서는 이 세상을 하여금 그리스도인들을 향해 이러한 낯섦을 알게 하시려고 우리를 구원해 주신 것이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오늘날 많은 그리스도인들은 하나님의 형상을 회복하여 이러한 존재의 울림을 세상에 들려주는 일에 관심이 없다.   우리가 어떻게 해야 세상과는 다른 사상을 섬기고, 세상과는 다른 삶의 방식으로 살아갈 수 있을까?    첫째, 그리스도인으로서 남다른 사상의 체계를 갖추어야 한다. 예수 그리스도를 깊이 만나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 복된 만남의 신학적 의미도 반드시 알아가야 한다, 그래서 성경과 신학이 필요하다. 성경을 통해 견고한 신앙에서 자라고, 신학을 통해 사상을 확고하게 해야 한다.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순간, 우리는 기독교 사상의 학교에 입학한 것이다.    둘째, 그리스도인으로 남다른 삶의 방식을 따라야 한다. 삶의 방식은 그가 믿는 사상에 의해 결정된다. 그러나 만약 우리에게 참다운 삶의 방식이 없다면 우리는 우리의 사상을 이 세상을 향해 입증하지 못할 것이다. 왜냐하면 세상 사람들에게는 우리 사상에 귀를 기울이는 것보다 우리의 삶을 목격하는 것이 훨씬 쉬운 일이기 때문이다. 한 사람의 삶의 방식은 그 사람이 무엇을 믿으며, 무엇을 추구하며, 무엇을 사랑하는지를 보여준다. 그리고 그렇게 삶의 방식을 통해 증명된 그 사람이 누구인지가 바로 한 사람의 존재적 선포다. 신자가 이 세상에 들려주어야 할 존재의 울림은 바로 이렇게 삶의 방식을 통하여 들리는 것이다. 여기까지가 이번 사건(?)과 관련 책의 내용이다.   성도들에게 존재의 울림이란 너무 너무 어려운 것일까? 우리가 세상 사람들에게 부끄러움을 느끼게 해야 하는데, 세상 사람들이 우리에게 부끄러움을 느끼게 하고 있으니~~ 뭔가 잘못되도 크게 잘못된 것 같다.  
2023-03-10 13:25:01 | 이규환
  성경 읽어 내려가다 가~끔은 두 사람 생각 하곤 한답니다. 종의 기원...이란 책을 쓴 찰스 다윈(1809~1882) 그리고 생명의 기원...이란 글을 쓴 조지 왈드(1906~1997)가 그들입니다.   그들은...그들의 혼은 지금 어디에 있을까...?...틀림없이 지옥에 있지 않을까...? 라는 생각 때문이랍니다. ^^   찰스 다윈과 조지 왈드, 그들의 주요 행적...?...언행...?...을 각각 하나씩 짚어보겠습니다.         위 이미지는 찰스 다윈의 진화론에 근거한 계통수(系統樹)입니다. 최~...~초로 자연 발생한 한 생명체로부터 진화에 진화를 거듭함으로써 수많은 종류의 생명체들이 좌~악 갈라져 나왔다라는 거...잖습니까. 기가 막힐 일인 거죠.    성경 맨앞...창세기 1장 1절...처음에 하나님께서 하늘과 땅을 창조하시니라...라는 거룩하신 말씀을 감히 정면으로 부정하고 있으니 말입니다. 따놓은 당상...아니라 맡아 놓은 지옥...아닐까...요...?   조지 왈드...하버드대학 교수로서 1967년 생리학/의약 분야 노벨상까지 받은 유명한 사람은 또 뭔 죄가 있기에 지옥이랑 연관지어 생각하느냐 하면 말입니다. 그는 사이언티픽어메리컨誌 1954년 5월호 P.46에 실린 생명의 기원...The Orgin of Life...란 글을 통하여   생명의 발생에는 자연 발생과 하나님의 초자연적 행위라는 두 가지 가능성이 있을 뿐이다. 그런데...자연 발생설은 이미 120년 전에 파스퇴르 등의 과학자들에 의해 부정되었으니 생명의 발생 가능성은 오직 하나님의 초자연적 행위 - 즉 창조 - 뿐이다. 그러나 나는 하나님 믿기를 원치 않으므로...과학적으로 설명 불가능한 것 - 즉 생명의 자연 발생 - 을 믿기로 했다...라면서   하나님 말씀을 정면 부정하는 정도를 넘어 아예...능멸하는(^^) 수준의 말을 했기 때문입니다. . . . 안 믿고 지옥 가겠다는 사람 굳이 멱살 잡고 건져줄 필요...없잖...겠습니...까...? 죽어봐야 거시기를 안다고, 어디 한번 가 보라고 냅두는 수밖에 없을 것 같습니다만. ^^   그런 사람...그러니까, 도저히 구제불능의 사람들 있을 줄 미리 아셨던 하나님께서 말씀해 놓으셨더군요.   이런 까닭으로 하나님께서는 그들에게 강한 미혹을 보내사 그들이 거짓말을 믿게 하시리니 (살후2:11) ... 라고 말입니다.   아참, 찰스 다윈 관련하여 한 말씀 더 드릴 게 있군요. ^^   자연 발생한 한 생명체로부터 진화에 진화를 거듭함으로써 수~없이 많은 종류의 생명체들 생겨나고 어쩌고 했다는 당췌 말 같잖은 찰스 다윈 같은 사람들 또한 있을 줄 미리 아신 하나님께서 말씀으로 남겨 놓으셨더군요   하나님께서 큰 고래들과 물들이 풍성히 낸, 움직이는 모든 살아 있는 창조물을 그것들의 종류대로, 날개 달린 모든 날짐승을 그것의 종류대로 창조하시니라. 하나님께서 보시기에 좋았더라. (창1:21)   라는 말씀을 포함한 창세기 1장에서만 무려 10 번이나 종류대로...!...처음부터 종류대로 창조하셨음을 거듭 거듭 분명히 밝히고 계시잖습니까. . . .  정녕 거룩하신 하나님...!  
2023-03-09 20:23:41 | 최영오
  안녕하세요?   벌써 2023년이 된지 한 달이 흘렀습니다. 추운 날씨도 한 풀 꺾인만큼, 봄이 다가오고 있네요~   교회에 가는 것이 어느때보다 설레는 때 인것 같습니다!   2월을 보내며... 지금 시작합니다.         2월의 사랑침례교회의 가장 큰 이슈는 무엇이었을까요?   바로 목사님과 사모님께서 미국에 가신 것이죠!       목사님과 사모님께서 미국에 다녀오시는 2주동안   성도님들이 설교 및 다양한 행사들을 진행해주시고   자발적으로 교회가 유지되는 모습을 보며    우리 사랑침례교회의 미래가 밝다는 것을 느꼈습니다.   2주간 어떤 일들이 있었는지 보러가시죠!       2월 둘째주   성도님들이 나이대로 모여 자기소개를 하고    교제를 나누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서로 얼굴만 알고, 인사도 제대로 못해본 성도님들이 많았는데   이번 기회를 통하여 인사를 나누었습니다.       청년들은 자기소개로 시작하여   20대의 형제들이 받을 수 있는    세상의 유혹들을 이겨낼 수 있는 방법에 대하여 교제를 나눴습니다.                   50~60대 형제님들의 교제 모습입니다.       많은 형제님들께서 교제를 위해 모였습니다.       자매님들도 화기애애한 분위기 속에서   서로를 알아가고 있네요~                 많은 성도님들께서 참여해주셔서 더욱 의미있고 기억에 남는 시간이 된 것 같습니다.   교제에 참여해주신 모든 성도님들께 감사드립니다.   앞으로도 많은 성도님들과 함께 할 수 있는 시간이 있으면 좋겠습니다.       2월 둘째주 저녁식사를 청년들이 준비해주었습니다.             우리교회의 큰 축을 담당하는 청년들의 요리 솜씨를 엿볼 수 있었는데요.     많은 성도님들께서 드실 요리 분량을 준비해주신 청년들께 감사드립니다.       -2월 셋째주-   2월 셋째주에는 제 2회 싱어롱 시간이 있었습니다.       찬양의 참된 기쁨을 맘껏 느낄 수 있는 시간이었습니다.       제2회 싱어롱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단 링크를 통해 보실 수 있습니다.   ↓   https://www.cbck.org/Photos/View/5Rj     -2월 넷째주-   목사님께서 미국에서 돌아오셨습니다.     오랜만에 뵈서 그런지 더욱 반가운 목사님 얼굴이었습니다.   ·   목사님께서 돌아오시는 일정에 맞춰,   광주은혜침례교회 성도님들께서 사랑침례교회를 방문해 주셨습니다.     오전설교를 한재석 목사님께서 해주시고   오후예배 시간 또한 한재석 목사님께서 진솔한 간증을 해주셨습니다.       이른 아침부터 버스를 대절하여 방문해주신    광주은혜침례교회 성도님들께 감사드립니다.   더 자주 뵐 수있는 기회가 생기면 좋겠습니다.   ·     오전 예배를 마치고 신학원 졸업식이 있었습니다.   총 19분의 졸업생 성도님들의 모습입니다.   2년동안 진리의 말씀을 연구하고 공부하신 졸업생 성도님들께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하나님의 은혜 안에서 2월을 알차게 잘 보낸 것 같습니다.   무엇보다 말씀을 사랑하고, 참된 신약교회를 추구하는    성도들이 모여 적극적으로 교제에 참여했다는 것이 정말 감사한 것 같습니다.   앞으로도 성도님들과의 교제가 주님 오실 날까지 계속되길 소망합니다.   그럼 봄이 다가오면 다시 돌아오겠습니다!   샬롬.    
2023-03-08 22:51:41 | 관리자